bxm's IT Story
프레임 릴레이 본문
<네트워크_개론 93페이지>
프레임 릴레이는 GNS3에서 보이는것처럼 실존하는 회선이 아니라, 가상회선임.
1:102 = 2:201 2:203 = 3:302
1:112 = 2:211 2:213 = 3:312
1:103 = 3:301 2:204 = 4:402
1:113 = 3:311 2:214 = 4:412
1:104 = 4:401 3:304 = 4:403
1:114 = 4:411 3:314 = 4:413
그리고 각 라우터마다 NM-4T로 슬롯을 설정해주고, s1/0으로 프레임 릴레이와 연결하기.
중간 명령어 :
- show ip route : 연결된 ip 확인
- show frame map : mapping 되어 있는 것 확인.
no frame map ip : 연결된 mapping 취소
R1~R4 까지 전부 실행.
그리고 그 전에 GNS3를 통해 실습했을 때의 기본 명령어
ena
conf t
no ip domain lookup
line c 0
logg sy
exec-timeout 0
exit
line vty 0 4
pass cisco
exit
hostname ## 그대로 적용.
int s1/0
no shut
encapsulation frame-relay
no frame-relay inverse-arp
#아무것도 안하고 내버려 놔두면, LMI 프로토콜이 돌아서 LMI가 DLCI에 있는 모든 회선을 엮어버림 (Full-mesh로!!)
#그래서 DLCI가 모두 Mapping 되버리므로 우리는 3개만 쓰면 되므로 회선이 전부 Open이 되어버림.!!
clock rate 64000
#클럭을 왜주냐면 R4가 DCE 이므로, DCE에서 클럭을 주므로 각 라우터에서 클럭을 줘야함.
<물리적>
十자형
<논리적>
1자 형
[R1]
int lo0
ip add 1.1.1.1 255.255.255.0
int s1/0
ip address 1.1.12.1 255.255.255.0
frame-relay map ip 1.1.12.2 102 br
# PVC 상에서 R1->R2로 가는데 DLCI 102번을 타고 가므로 이걸 타고 가라고 알려주는 것임.
# broadcast와 multicast 2가지가 드나들게 허락해라. 라는 명령어임.
[R2]
###여기서 문제!!###
물리적으로는 단자가 1개인데, 논리적으로는 단자가 양 옆으로 2개임!! 이렇게 물리적 주소를 논리적 주소로 쪼갤때
쓰는 방법이 있다.
<프레임 릴레이 논리 인터페이스 규칙>
1. 주인터페이스와 멀티포인트는 동격이다.
2. 상대방 인터페이스가 하나 이상이면 p - to - p multipoint 모두 가능하다.
3. 상대방 인터페이스가 2개 이상이면 multipoint를 사용한다.
주인터페이스는 살려놓고, 서브인터페이스를 만들자(?)
int lo0
ip add 1.1.2.2 255.255.255.0
## 여기서부터 프레임 릴레이 논리 인터페이스 규칙임. m=multipointexit
int s1/0.12 m
ip add 1.1.12.2 255.255.255.0
frame map ip 1.1.12.1 201 br
exit
int s1/0.23 m
ip address 1.1.23.2 255.255.255.0
frame map ip 1.1.23.3 203 br
[R3]
int lo0
ip add 1.1.3.3 255.255.255.0
int s1/0.23 m
ip add 1.1.23.3 255.255.255.0
frame-relay map ip 1.1.23.2 302 br
exit
## R3<->R4는 point to point 이기 때문에 상대가 딱 1명이라서 ip를 지정할 필요가 없음. 그래서 명령어가 다름!!
int s1/0.34 p
ip add 1.1.34.3 255.255.255.0
frame interface-dlci 304
[R4]
int lo0
ip add 1.1.4.4 255.255.255.0
int s1/0.34 p
ip add 1.1.34.4 255.255.255.0
frame interface-dlci 403
<통신확인>
R1 -> R2
R2 -> R3
R3 -> R4
R1의 라우터는 'Show ip route'를 했을때 R2밖에 알지 못함. 한마디로 바로 옆 놈 이후로는 아예 모른단 것임.
R2와 R3 모두 마찬가지임. 그래서 라우팅을 통해 알려줘야함
목적지 네트워크 - 마스크 - 출구 인터페이스 - 넥스트
[R1] -> 이리 가려면 오른쪽으로 던지면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임!!
conf t
ip route 1.1.2.0 255.255.255.0 s1/0 1.1.12.2
ip route 1.1.3.0 255.255.255.0 s1/0 1.1.12.2
ip route 1.1.4.0 255.255.255.0 s1/0 1.1.12.2
ip route 1.1.23.0 255.255.255.0 s1/0 1.1.12.2
ip route 1.1.34.0 255.255.255.0 s1/0 1.1.12.2
[R2] -> 자기와 붙은 위, 왼쪽, 오른쪽을 알고 있음. 하지만 그 이상은 알지 못함.
conf t
ip route 1.1.1.0 255.255.255.0 s1/0.12 1.1.12.1
ip route 1.1.3.0 255.255.255.0 s1/0.12 1.1.23.3
ip route 1.1.4.0 255.255.255.0 s1/0.12 1.1.23.3
ip route 1.1.34.0 255.255.255.0 s1/0.23 1.1.23.3
[R3] -> R1의 1.1, 12.0 // R2의 2.2 {여기까지는 왼쪽으로 던지고}
// R4의 4.4 {얘는 오른쪽으로 던지면 된다}를 모르는 상태임.
conf t
ip route 1.1.1.0 255.255.255.0 s1/0.23 1.1.23.2
ip route 1.1.12.0 255.255.255.0 s1/0.23 1.1.23.2
ip route 1.1.2.0 255.255.255.0 s1/0.23 1.1.23.2
ip route 1.1.4.0 255.255.255.0 s1/0.34 1.1.34.4
[R4] -> 4와 4.4 빼고 전부 모름
conf t
ip route 1.1.1.0 255.255.255.0 s1/0.34 1.1.34.3
ip route 1.1.2.0 255.255.255.0 s1/0.34 1.1.34.3
ip route 1.1.3.0 255.255.255.0 s1/0.34 1.1.34.3
ip route 1.1.12.0 255.255.255.0 s1/0.34 1.1.34.3
ip route 1.1.23.0 255.255.255.0 s1/0.34 1.1.34.3
<등록된 IP들을 축약 해보기> - 집 가서 축약 공부 제대로 마무리 하기.
R1]
no ip route 1.1.2.0 255.255.255.0 s1/0 1.1.12.2
no ip route 1.1.3.0 255.255.255.0 s1/0 1.1.12.2
no ip route 1.1.4.0 255.255.255.0 s1/0 1.1.12.2
no ip route 1.1.23.0 255.255.255.0 s1/0 1.1.12.2
no ip route 1.1.34.0 255.255.255.0 s1/0 1.1.12.2
ip route 1.1.0.0 255.255.192.0 s1/0 1.1.12.2
R2]
no ip route 1.1.1.0 255.255.255.0 s1/0.12 1.1.12.1
no ip route 1.1.3.0 255.255.255.0 s1/0.23 1.1.23.3
no ip route 1.1.4.0 255.255.255.0 s1/0.23 1.1.23.3
no ip route 1.1.34.0 255.255.255.0 s1/0.23 1.1.23.3
ip route 1.1.1.0 255.255.255.0 s1/0.12 1.1.12.1
ip route 1.1.0.0 255.255.192.0 s1/0.23 1.1.23.3
R3]
no ip route 1.1.1.0 255.255.255.0 s1/0.23 1.1.23.2
no ip route 1.1.12.0 255.255.255.0 s1/0.23 1.1.23.2
no ip route 1.1.2.0 255.255.255.0 s1/0.23 1.1.23.2
no ip route 1.1.4.0 255.255.255.0 s1/0.34 1.1.34.4
ip route 1.1.4.0 255.255.255.0 s1/0.34 1.1.34.4
ip route 1.1.0.0 255.255.255.0 s1/0.34 1.1.23.2
R4]
no ip route 1.1.1.0 255.255.255.0 S1/0.34 1.1.34.3
no ip route 1.1.2.0 255.255.255.0 s1/0.34 1.1.34.3
no ip route 1.1.3.0 255.255.255.0 s1/0.34 1.1.34.3
no ip route 1.1.12.0 255.255.255.0 s1/0.34 1.1.34.3
no ip route 1.1.23.0 255.255.255.0 s1/0.34 1.1.34.3
ip route 1.1.0.0 255.255.192.0 s1/0.34 1.1.34.3
[R1]
1. 연결된 IP들을 확인해보기.
show run | begin route (현재 연결된 IP들을 볼 수 있는 명령어이다.)
2. 연결된 IP들을 no ip 를 통해서 지워보기.
3. 다 지워진 것을 확인.
4. 축약하기
ip route 1.1.0.0 255.255.192.0 S1/0 1.1.12.2
## 1. 제일 큰 숫자가 Router3 -> Router4로 가는 34.0 이므로 2^5 <= 34 <= 2^6 이므로 /24에서 /18로 바꿈.
## 2. 1.1.0.0/18 -> 1.1.(0~63)/24랑 같은 말임.
[Longgest match rule] 엄청 중요!!
1.1.1.0 255.255.255.0 s1/0.12 1.1.12.1
1.1.0(0~63).0/24 255.255.192.0/18 s1/0.23 1.1.23.3
그러면 말에 모순이 있다. 1.0으로 갈땐 왼쪽으로 가라고 했는데
아래 까보니 0~63까지 포함이라서 1.0으로 갈때 오른쪽으로 가라고 또 말한다.
하지만 Longgest match rule 때문에 255가 192보다 비트로 보면 1의 수가 더 많기에 저것을 우선으로 라우팅하고
나머지 라우팅 안된 애들만 아래의 2번째 줄에 포함된다는 법칙이다.
https://csdaniel.tistory.com/72
롱기스트 매치 룰이란? (longest match rule)
: 라우터가 IP 패킷을 포워딩(라우팅)할 때 포워딩 테이블에서 해당 항목을 찾는 규칙 : IP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수많은 목적지 IP 주소 중 일치하는 부분이
csdaniel.tistory.com
<오류로 인해 R1~R4 간의 통신이 되지 않는 GNS3 고쳐보기>
오류확인 절차
1. 일단 interface up인지 down인지 확인하기.
2. mapping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3. ip 확인하기.
4. 마스킹 확인하기.
5. 엘레마이? 타입 확인하기
R1]
show ip interface br
show run interface s1/0 -> dlci가 잘못된것을 확인할 수 있음. DLCI가 102이어야 하는데 103으로 되어있음.
int s1/0
no frame-relay map ip 1.1.12.2 103 broadcast
fram map ip 1.1.12.2 102 br
show fram map -> dlci가 103에서 102로 제대로 변경된 것을 찾을 수 있음.
ping 1.1.12.2 -> 잘된다
ping 1.1.23.3 -> 안된다. R3에 가보자
R3]
show ip interface br (23 라인이 down 상태임)
show fram
show int s1/0
1.
2.
3.
4.
5.
6.
7.
8.
9.
10.
'Network > Cisco (K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Spanning Tree Protocol) (1) | 2021.06.11 |
---|---|
Floating Static Route (0) | 2021.06.10 |
PPP - CHAP 방식 GNS3 Programming (0) | 2021.06.09 |
PPP - Pap vs CHAP (0) | 2021.06.09 |
PPP - CHAP 방식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