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xm's IT Story
Native VLAN 구현. 본문
복습) 여기서 예시로 들 192.168은 3개의 block 중에 Private block이다.
코드가 좀 꼬여있어서 Native VLAN 구현하는 것 보려면, PPP 방식에서 CHAP 방식에서 사용한 NATIVE VLAN 보면 된다.
방법은 진짜 별반 차이가 없음.
f0/0 (fast 이더넷 0번 모듈의 0번단자)
f0/1 (fast 이더넷 0번 모듈의 1번단자)
..
f1/0 (fast 이더넷 1번 모듈의 0번 모듈)
모듈에서 M0 (0번모듈)은 Router(라우터 단자임!)
M1 (1번모듈)은 Switch(스위치 단자임!)
일단 Native VLAN은 목적지 MAC 주소앞에 붙는 4바이트의 Tadding을 안넣는 것임! 부하를 줄이기 위해.
R1]
IP를 검색해보니 현재 down 상태인 것을 볼 수 있다.
conf t
int f0/0
no shut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exit
int f0/0.20
encapsulation dot1q 20
ip add 192.168.20.254 255.255.255.0
SW]
en (enable -> ena -> en)
show int tr (trunk 안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음)
conf t
int f1/15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port mode trunk
switchport trunk native
switchport trunk native vlan 10 (vlan 10번엔 태깅을 하지 않을 것이다!)
PC1]
en
conf t
int f0/0
ip add 192.168.10.1 255.255.255.0
exit
ip default-gateway 192.168.10.254
PC2]
en
conf t
int f0/0
ip add 192.168.20.2 255.255.255.0
exit
ip default-gateway 192.168.20.254
위의 방식은 원리를 알기 위한 Native-VLAN 방식이었고, 이제 실전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을 알아보겠다.
R1]
show ip interface brief
conf t
int f0/0
no ip address (이 명령어 수행시 ip가 날아감)
exit
int f0/0.10
encapsulation dot1q 10 native (이제부터 얘가 Navive임!)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etwork > Cisco (K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P (Wan에서의 pap(팹_암호화 하지 않은) 방식) (0) | 2021.06.09 |
---|---|
PPP (0) | 2021.06.09 |
어느 곳을 고쳐야할까? 라우터 스위치 문제. (0) | 2021.06.09 |
GNS VLAN10, VLAN20 예제 관련하여 Switch와 Router 활용하여 통신망 연결하기(2), 라우터가 SW2랑 연결되어 있을때 (0) | 2021.06.09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기출 1번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