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xm's IT Story

IPv6와 Link-local 본문

Network/Cisco (KEDU)

IPv6와 Link-local

bxmsta9ram 2021. 7. 1. 11:15

IPv6 개론.pdf
0.16MB
20.IPv6_Note.pdf
0.86MB

## IPv6 서론 ##

## 마스크 값을 255.255.255.0 이런식으로 쓰지 않고 /bit 로 표현한다.

## 8마디씩 끊어서 16진수를 표시한다.

## "이걸 언제 다 써요~" 하는데 방법이 있음.

 

① 0001

   - 앞에 0 3개를 'Leading zeros' 라고 해서 0 3개를 생략 가능하다.

   - 0001을 1로 표시.

 

② 0000

   - 0000을 0으로 표시

 

③ 0000:0000

   - 0000:0000을 ::(콜론 2개)로 표시

 

IPv6는 참고로 브로드캐스트 의 개념이 없다!! 차이점임!!

## 2000::/3
  - 3bit이므로 왼쪽으로 1칸 이동하면 2~3이므로, 2000 ~ 3FFF이다.

 

## 애니캐스트

  - 서버가 서로 다른데 같은 애니캐스트를 쓸 수 있다.

    ex) 네이버같은 경우 서버가 1대가 아닌데, 여러 대의 서버가 같은 애니캐스트를 사용할 수 있음.

 

 

## IPv6 ##

## Interface ID 생성 방법 ##

  - IPv6 주소에서 Host를 식별하기 위한 하위 bit를 Interface-ID라고 표현한다. (IPv4의 Host-ID)

  - IPv4와 다르게 IPv6의 경우 주소 체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Interface-ID 생성을 지원한다.

  - 관리자가 수동으로 할당하는 방식과 자동으로 할당되는 방식이 존재하는데, 

     자동 할당 방식을 'Address Auto-Configuration'이라고 표현한다.

  - 다시 'Address Auto-Configuration'의 경우 DHCPv6를 사용하는 'Stateful Address Auto-config' 방식과

                                                       DHCPv6를 사용하지 않는 'Stateless Address Auto-config' 방식으로 나뉜다. 

         

  1. Modified EUI-64 방식

    - Cisco Device에서 Stateless Address Auto-config를 사용할 경우, 이 방식을 사용한다.

    - MAC 주소 가운데 FFFE를 추가하고, 7번째 bit를 1로 변경하여 하위 64bit의 Interface-ID를 생성하게 된다.

 

 

    ## 이걸 가지고 응용을 해보면,

    ## EUI-64 주소 채번 방식

    1. MAC 주소가 48bit로 12개 있으면, 3개/3개로 끊어서 그 사이에 16bit의 FFFE를 추가함.

    2. 주소가 고유한가? 고유함!! 왜냐면 원래 MAC주소 48bit가 고유하므로 중간에 16bit의 FFFE를 추가한다고 해도

       그 주소는 고유함.

    3. MAC 주소의 첫번째 묶음 (8bit)에서 2번쨰 bit를 1로 바꿈 (0000 00X0) -> (0000 0010)

       

       그럼 이게 IPv6의 주소다!!

 

 

  2. Auto-Generated Pseudo-Random Number 방식 (윈도우즈가 알아서 생성하는 방식임!!)

    - MS 계열의 OS에서 Stateless Address Auto-Config가 적용되었을 때 사용되는 방식.

    - OS가 MD5 Hash 함수를 사용하여 임의의 64bit Interface-ID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IPv6_Static.zip
0.04MB

공통]

ena

conf t

no ip domain lookup

line c 0

  logg sy

  exec-timeout 0

  exit

line vty 0 4

  pass cisco

  exit

hostname ##

end


CE]

conf t

ipv6 unicast-routing

## IPv6의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 쓴 명령어!!

 

int f0/0

  no shut

  ipv6 address 2001:100:100:100::254/64

  exit

 

int f0/1

  no shut

  ipv6 address 2001:12:12:12::1/64

  ipv6 address fe80::1 link-local

  end

wr

  ## Interface에 link-local 주소가 쓰인다고 했음!!


ISP]

conf t

ipv6 unicast-routing

 

int f0/0

  no shut

  ipv6 address 2001:12:12:12::2/64

  ipv6 address fe80::2 link-local

  end

wr

 

ping 2001:12:12:12::1

## 잘감

 

conf t

int f0/1

  no shut

  ipv6 address 2001:23:23:23::2/64


Busan]

conf t

ipv6 unicast-routing

 

int lo0

  no shut

  ipv6 address 2001:200:200:200::1/64

  exit

 

int f0/1

  no shut

  ipv6 address 2001:23:23:23::3/64


SW, PC3]

conf t

no ip routing

end


PC3]

conf t

int f0/0

  no shut

  ipv6 address autoconfig

  end

          ## 자동으로 IP를 매겨라!!

 

show ipv6 int br

## autoconfig 하니까 진짜 자기가 IP를 매겨놨음.

 

## 게이트웨이로 ping 날려보기

ping 2001:100:100:100::254


CE]

## Static으로 root를 줘보기.

conf t

ipv6 route 2001:200:200:200::/64 f0/1 fe80::2

end

## f0/1을 통해서 fe80::2로 가라.


ISP]

conf t

ipv6 route 2001:200:200:200::/64 f0/1 FE80::CE03:CFF:FE6C:1

## 부산쪽의 link local 주소를 show ipv6 int br f0/1에 걸려있는 FE80으로 시작하는 주소 긁어오기.

 

ipv6 route 2001:100:100:100::/64 f0/0 fe80::1

 

## 좌측은 10이라는 Link local을 우리가 줬고, 우측은 자동으로 생성되었었다.


Busan]

conf t

ipv6 route 2001:100:100:100::/64 f0/1 FE80::CE01:11FF:FEB8:1

## f0/1을 통해서 FE80::CE01:11FF:FEB8:1로 가라.

## ISP에서 Link local 주소를 알아내자. 위에서 한 것 처럼.


## 통신 되나 확인!! ##

PC3]

ping 2001:200:200:200::1

PC3에서 쭉~ 거쳐서 Busan까지 통신이 되었음.


## VMWare PC에서도 되나 확인해보자. ##

## VMWare 에서 IPv6가 지원이 된다~!

## 그리고 GNS3에서 VMNet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VMWare에서도 VMNet1로 설정해야 한다!!

 

## 이제 VMWare cmd 창에서 Ping 날려보기

ping 2001:200:200:200::1

성공!

 

'Network > Cisco (K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존 Map을 활용한 DNS와 DB file(master) - 1  (0) 2021.07.05
IPv6와 Link-local(2)  (2) 2021.07.02
가상 링크 (Virtual Link)  (0) 2021.07.01
Full-mesh에서의 Frame-relay  (0) 2021.07.01
Ether Channel을 통한 Total MAP 구성  (0)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