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xm's IT Story
기존 Map을 활용한 DNS와 DB file(master) - 2 본문
## 어제의 환경변수 설정들을 이어서 하는 실습임!
CentOS]
Router에서 DHCP 받을때 UDP로 server : 67번 / client : 68번을 받는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우리가 이것을 계속 바꾸는 이유는 yum을 사용하기 위해서 바꿈!!
## 그냥 사용해도 되는데, 어제처럼 인터넷 상태가 원활하지 않아서 '브릿지'로 놓을 것임.
systemctl restart network
firewall-config
## 방화벽 설정 <런타임> : DHCP, DHCPv6 체크
yum -y install dhcp
yum -y install samba*
## samba 라는 파일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 브릿지->VMNet6으로 변경, 그리고 DHCP를 지우고 IP 원위치!! 다시 STATIC으로
ping 192.168.50.251
## 게이트웨이로 핑! 잘 된다!
## DHCP 데몬이 충돌하는게 하나가 있음. 그래서 그 데몬을 꺼줘야함.
ps -ef | grep dnsmasq
vi /etc/dhcp/dhcpd.conf
## 시험삼아 1개만 뿌려보자.
## 32개의 경우의 수라서 224라고 하셨는데 잘 모르겠음.
## option routers 192.168.10.29 게이트웨이가 10.29임.
## 아래의 option 2개는 자주 쓸 예정이므로 #(우물정을) 해놓는다!!
## 얼마까지 뿌려야되나? GNS3를 보며 28,29 쓰고있고, 30도 쓰고 있으므로 27까지 뿌리면 된다고 하심!
## 이제 DHCP Service를 시작해보자.
systemctl restart dhcpd
systemctl status dhcpd
## 어제의 named.conf 파일과는 다르게 여기서는 checkconf 명령이 안먹힌다고 하심. 시력에 의존해야 한다.
vi /etc/hostname
##dns. -> dhcp.
systemctl disable dnsmasq
init 6 ## 재부팅!!
ps -ef | grep dnsmasq
kill -9 프로세스번호
systemctl start dhcpd
## 또 에러가 뜬다!!
vi /etc/dhcp/dhcpd.conf
## 뭐가 문제인지 다시 확인해보자.
## Tab을 없애고 Space로 간격조정 해보기!! 그리고 #으로 묶어놨던 것들을 제거!
## 그래도 안된다 ㅠㅠ
rpm -qa | grep dhcp
ifconfig
오류 검출!!!!!!!!
## 50 네트워크는 서버가 돌아가기에 DHCP를 안돌림. 그래도 명목상에 50 허수아비 네트워크를 만들어 놔야한다!!
vi /etc/dhcp/dhcpd.conf
ping 192.168.50.251
## CentOS와 Win701에서 잘 되나 확인!
DSW1]
conf t
int vlan 10
ip helper-address 192.168.50.101
Win701]
## 네트워크 연결 보기에서 'IP 자동 받기 설정!!'
ipconfig
ping 192.168.50.101
CentOS]
vi /etc/dhcp/dhcpd.conf
## 7YY(7줄 복사) 하고 P(Paste) 한 후 계속 내용 추가
## 그리고 맨 위에 DNS 서버를 정의하자.
systemctl restart dhcpd
## 윽 에러..
vi /etc/dhcp/dhcpd.conf
## option domain-name "kedu.edu";
option domain-name-servers 192.168.50.101, 168.126.63.1; 을 친 후 2YY로 복사 한 후
각 문단안에 P(Paste)로 붙여넣기!! 세미콜론 잘 되어있는지도 확인!!
systemctl restart dhcpd
♥♥♥♥♥♥♥♥♥♥ 된다 씌이바~ 된다 된다~ ♥♥♥♥♥♥♥♥♥♥
그리고 개꿀팁 찾음!! 파일명 configtest 하면 에러 검출 가능함!!
dhcpd configtest
DSW1, DSW2]
conf t
int vlan 10
ip helper-address 192.168.50.101
exit
## DSW1에서는 아까 vlan 10 설정을 해줬으니, 이것은 DSW2만 해주면 된다.
int vlan 20
ip helper-address 192.168.50.101
exit
int vlan 30
ip helper-address 192.168.50.101
exit
int vlan 40
ip helper-address 192.168.50.101
end
wr
Win701]
## IP 반납 : ipconfig /release
(IP 이제 안쓸래 돌려줄게!! 이것임.)
## VMNet 3번으로 바꾸고, IP 새로 달라고 말해야함!!
ipconfig /renew
10.1
## 서버에서 IP 사용 현황을 보고 싶다면
cat /var/lib/dhcpd/dhcpd.lease
'Network > Cisco (K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4와 IPv6의 통신을 위한 터널링 기법 (0) | 2021.07.09 |
---|---|
IPv6를 통한 Frame-Relay (Full-mesh) (0) | 2021.07.09 |
기존 Map을 활용한 DNS와 DB file(master) - 1 (0) | 2021.07.05 |
IPv6와 Link-local(2) (2) | 2021.07.02 |
IPv6와 Link-local (3)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