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xm's IT Story
서버 구축 - Apache Web Server 본문
공통]
conf t
no ip domain lookup
line c 0
logg sy
exec-timeout 0
exit
line vty 0 4
pass cisco
end
SW]
conf t
no ip routing
CE]
conf t
int f0/0
no shut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ip nat inside
exit
int f0/1
no shut
ip add dhcp
ip nat outside
exit
ip route 0.0.0.0 0.0.0.0 f0/1 10.0.0.1
access-list 1 permit 192.168.10.0 0.0.0.255
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 f0/1 overload
end
wr
## VM Ware - CentOS 접속 ##
## 9번에 연결했고 10.100 인것 기억.
## CentOS 들어가서 VMNet 9 에 연결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BOOTPROTO를 static으로 변경
* 앞에 #들을 지우고 IP들을 순차적으로 입력.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restart network
[root@localhost bxmsta]# vi /etc/resolv.conf
[root@localhost bxmsta]# route
## default가 있는 것을 확인
[root@localhost bxmsta]# ping 10.0.0.1
## VTP 설치 ##
[root@localhost bxmsta]# vi /etc/sysconfig/selinux
저 형광펜 부분을 'disabled' 로 변경하려면 2가지 방법이 있다.
1. [root@localhost bxmsta]# setenforce 0 (임시 permissive)
[root@localhost bxmsta]# sestatus
2. 저 위의 vi에서의 형광펜 부분을 disabled로 변경한 후에 재부팅
[root@localhost bxmsta]# vi /etc/sysconfig/selinux
## FTP 하기 위해서 이제 2차 방화벽을 열어야 한다. ##
[root@localhost bxmsta]#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21/tcp
## 현재 오픈된 port를 확인하려면
[root@localhost bxmsta]# netstat -lntup | grep LISTEN
## 21번이 안열려있음.
## firewall을 reload 해보자
[root@localhost bxmsta]# firewall-cmd --reload
[root@localhost bxmsta]# netstat -lntup | grep LISTEN
[root@localhost bxmsta]# firewall-config
## 영구적과 선택하고 FTP가 체크되었는지 확인(이건 대체방법이고 실제로는 아래의 명령 방법을 써야함.)
## FTP 설치해보자 ##
## rpm -qa 해서 설치된 파일 조회하는것임.
[root@localhost bxmsta]# rpm -qa | grep vsftpd
## 없다.
## 깔자!
[root@localhost bxmsta]# yum -y install vsftpd
## 설치가 끝났으면,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start vsftpd.service ## 리눅스가 부팅할 때 자동으로 시작하라는 뜻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enable vsftpd.service
[root@localhost bxmsta]# vi /etc/vsftpd/vsftpd.conf
29번째 anon(어나니머스_외부사용자)
33번째 anon(어나니머스_외부사용자) 2개의 앞에 있는 #(우물정) 지워주기. 허락해주겠다는 뜻임!!
87번째 #(우물정) 지우기. 그리고 ftpd_banner=Welcome to Moon's FTP service
[root@localhost bxmsta]# cd /var/ftp
[root@localhost bxmsta]# ls -l ## 현재 755임
[root@localhost bxmsta]# chown ftp:ftp ./pub [root@localhost bxmsta]# ls -l ## ftp로 바뀜
##허가권 변경!![root@localhost bxmsta]# chmod 777 ./pub
## 보아 사진1개와 동영상 1개 파일 전송 ##
## share - temp - www - [boa 영상 2개 내 PC로 가져오기] ##
[root@localhost bxmsta]#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BOOTPROTO = DHCP로 변경## BROADCAST ~ DNS2 까지 전부 앞에 #(우물정) 붙여주기.## 저장하고 나간다음에 VM Ware 설정에서 브릿지로 바꿔주기.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restart network
[root@localhost bxmsta]# ifconfig ## ip 확인. 선생님은 10.10.62.31 ?
## 내 PC에서 알드라이브 2.12 설치
https://www.altools.co.kr/download/ALDrive.aspx
## 아이피 넣고, 포트번호 21 넣기.
## 우리가 설정 파일을 만진 다음에 재시작을 안했으므로, 그리고 파일 전송!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restart vsftpd.service
## 알드라이브 다시 접속하고
[root@localhost bxmsta]# ls ./pub
## 안보내지면
1. firewall-config 해서 FTP 다시 확인.
2. systemctl restart vsftpd.service 명령어 쳐줬나 다시 확인.
## Apache Web Server ##
이제부터 홈페이지 제작!
1. 웹 브라우져로 Client가 페이지 요청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져와 웹 서버간 의사 소통, Client가 페이지 요청시 웹 서버는
요청 받은 페이지를 보내준다.
2. 동적(Dynamic) 웹 서버의 동작방식
1) 클라이언트 즉, 웹 브라우져를 통해 80번 포트로 웹 서버에 연결한다.
2) 사용자가 동적인 페이지를 표현하는 PHP 프로그램 요청
3) 웹 서버가 PHP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매개변수를 넘겨준다.
3. 정적(Static) 웹 서버의 동작방식
1) 클라이언트 즉, 웹 브라우져를 통해 80번 포트로 웹 서버에 연결한다.
2) 사용자 문서 (index.html)을 요청
3)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파일을 시스템에게서 검색
4) 웹 서버가 요청한 파일을 읽음.
5) 웹 서버가 파일을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져에게 제공
4. 'Apache'의 특징
1) 매우 뛰어난 성능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공개형 웹 서버 프로그램
2)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유연하게 설계
3) 보조적 프로그램 다양
4) 동적 공유 객체 지원
## 방화벽 열기
[root@localhost bxmsta]# firewall-cmd --add-service=https
[root@localhost bxmsta]# yum -y install httpd* ## Apache 설치 코드임
[root@localhost bxmsta]# mkdir /backup
[root@localhost bxmsta]# cp /etc/hosts /etc/resolv.conf /etc/httpd/conf/httpd.conf /backup
## 앞에 있는 것들(중요한 파일들)을 손상되기 전에, 미리 backup에 갖다놓음.
## Web 서버 설정
[root@localhost bxmsta]# cd /var/www
[root@localhost bxmsta]# ls -l
[root@localhost bxmsta]# cd ./html
[root@localhost bxmsta]# ls -l
## 만들어주자.
[root@localhost bxmsta]# vi index.html
## 이제 여기다가 Web page를 만들것임.
## [head] - [body]
- html : 문서의 시작과 끝
- title : 아래와 같이 제목
link :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상태의 색상을 지정
vlink : 한번이라도 방문했던 상태의 색상을 지정
alink : 마우스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의 링크 색상을 지정
find / -name pub
## 허가 거부가 뜸
cp /var/ftp/pub/* ./
ls -l
## 우리가 아직 실행 안했으므로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root@localhost bxmsta]#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 파이어폭스 실행
검색창에 localhost 입력
## VM ware - WIN7 - 설정
192.168.10.1
255.255.255.0
192.168.10.254
192.168.10.100 ## DNS는 10.100이다 (현재 리눅스. 딱 보면 나와야함!!)
168.126.63.1
## 띠로리... CentOS 브릿지->VMNet9로 바꾸고 IP도 바꿔야한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BOOTPROTO="static"
## BROADCAST~DNS2까지 전부 #(우물정) 제거
## 그리고 위에서 사이트 만든거 들어갔는데 이미지랑 동영상이 안떴었음!!
## 왜냐? 권한 때문이었음 ㅡㅡ..
chmod 755 ./boa.jpg
chmod 755 ./boa_valenti.mp4
## 여기서 리눅스에서는 [파이어폭스] - [주소창 : localhost] 를 누르면
## 그렇다면 Win7에서 [크롬] - [주소창 : 192.168.10.100] 을 치면 원래 들어가져야 하는데 안들어가짐!!
## 심지어 ping도 안갔었음!!
## 결론은 ... GNS3 들어가서 라우터->스위치 변환한 SW를 지우고, '일반형 스위치'로 갈아버린 다음에
포트 연결하고 다시 해보니까 된다 ;; GNS3 오류였음 ㅡㅡ..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dmail (메일 주고 받기) // Evolution + Thunderbird (0) | 2021.07.08 |
---|---|
SAMBA (Win7->Linux // Linux->Win7) (0) | 2021.07.07 |
Linux #7 - Root password 복구(Grub)와 SELinux 보안 (0) | 2021.07.01 |
Linux #6 - 리눅스 압축 도구 (0) | 2021.06.25 |
Linux 이론#6 - User와 Group 관련 명령어 / chmod (허가권,소유권) / Process(bg, fg, kill) (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