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xm's IT Story
Sendmail (메일 주고 받기) // Evolution + Thunderbird 본문
CentOS]
ping 10.0.0.1 #제대로 가는지부터 확인!
설정 : 브릿지, DHCP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systemctl restart network
## 전부 # 채워주고, DHCP로 변경!!
yum -y install sendmail sendmail-cf dovecot
##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systemctl restart network
## STATIC, # 전부 제거 // 브릿지 -> VMnet6 으로 변경.
ping 192.168.50.200
## 잘 된다.
## 이제 conf 파일을 만져줘야 한다!!
vi /etc/mail/sendmail.cf
:set nu
## 85번째 줄 아래와 같이 변경!
## 우리가 쓰는 도메인명이 다르면 다른걸로 하면 된다. 근데 실습때는 kedu.edu이므로!
Cwlocalhost --> Cwkedu.edu 로 변경!!
## 264번째 줄
Addr=127.0.0.1, 지우고 맨 뒤에 Name=MTA를 왼쪽으로 붙이기.
## 이걸 지우면 외부에서 이메일 전송이 가능해진다!!!
## 저장하고 나가기.
vi /etc/mail/access
:set nu
## 13번째 줄에 새로
kedu.edu RELAY
192.168.50.101 RELAY ## RELAY는 다른 메일 서버를 경유해서 메일을 보낼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wq
makemap hash /etc/mail/access < /etc/mail/access
vi /etc/dovecot/dovecot.conf
##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에서 송수신 요청이 오면, 해당 사용자의 메일을 송수신 하는 역할을 한다!!
:set nu
## 24번째 줄
protocols = imap pop3 lmtp 앞에 있는 우물정(#)을 제거해서, 프로토콜을 쓸 수 있게 해주기!!
## 30번째 줄
listen = *, :: 앞에 있는 우물정(#) 제거!! ==> IPv4와 IPv6를 사용하겠다!!
## 33번째 줄
base_dir = /var/run/dovecot/ 앞에 있는 우물정(#) 제거!! ==> 이메일 저장 디렉토리 쓰겠다.
:wq
vi /etc/dovecot/conf.d/10-ssl.conf
:set nu
## 8번째 줄
ssl = required ==> ssl = yes ## YES로 한다는 의미는 kedu.edu를 갖다가 메일 서버로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wq
vi /etc/dovecot/conf.d/10-mail.conf
:set nu
## 25번째 줄
mail_location = mbox:~/mail.INBOX=/var/mail/%u 앞에 있는 우물정(#) 제거!!
## 121번째 줄
우물정(#) 지우고, mail_access_groups = mail 로 변경!!
## 166번째 줄
lock_method = fcntl 앞에 있는 우물정(#)을 지워줘서 잠금방식 설정을 해주기!!
:wq
##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
systemctl start sendmail
systemctl start dovecot
systemctl enable sendmail
systemctl enable dovecot
옆의 메뉴에 있는 [프로그램] - [Evolution]이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
##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DHCP로 바꾸고, 브릿지설정!
yum -y install evolution*
## 잘 안깔리면 ps -ef | grep yum 으로 확인해서 점거되어 있는 프로세스 kill 이후에 재설치 해보기.
ps -ef | grep yum
yum -y install evolution*
## Evolution을 제대로 설치했으면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들어가서 'STATIC'으로 변경 후, 우물정(#) 지우기.
systemctl restart network
## 다시 [프로그램]에서 보면 오피스 - 에볼루션이 뜰것임!
## 에볼루션 실행 ##
마법사가 뜸 - 다음 - 다음
--> 전체이름 : 케이에듀
--> 전자메일 주소 : kim@kedu.edu
다음
--> 서버종류(받는메일 서버) : POP 클릭
--> 서버 : mail.kedu.edu 포트는 110번임.
--> 사용자이름 : kim
다음 - 다음
--> 서버종류(보내는메일 서버) : SMTP
--> 서버 : mail.kedu.edu 포트는 25번임.
다음 - (계정 요약이 나올 것임.) - 다음
여기서 잠깐!!, ## POP과 IMAP의 차이 ##
보내는사람이 SMTP로 보내고, 받는쪽 내용이 컴퓨터로 그대로 이동됨(만약 메일을 받았는데, 학원 컴퓨터에서 메일을 받아서 확인하면 집의 컴퓨터에서 확인이 안된다. 확인을 하는 순간 POP이 비어짐!! 보안때문에 사용)
IMAP은 POP과는 반대로 복사본이 내려옴. 그래서 어디서든 계속 확인이 가는함!!
이제 DNS에서 메일 설정을 해줘야한다.
Win 2016]
ping 192.168.50.200
## DNS 관리자 들어가서 mail exchange ?? 갑자기 선생님이 취소하라고 하심.
<새 호스트> A 레코드를 하나 만들기.
--> 이름 : mail
--> IP 주소 : 192.168.50.101
<새 MX>
호스트 이름 : mail
메일 서버의 FQDN : mail.kedu.edu
WIN-MT7HVN3O0KI - 동작 - 모든 작업 - 다시 시작
Win7]
## 이름 풀이 되는지 확인!!
cmd - nslookup
>> mail.kedu.edu
서버 : ns.kedu.edu
Address : 192.168.50.100
이름 : mail.kedu.edu
Address : 192.168.50.101
이 뜨나 확인!!
ping mail.kedu.edu 핑이 가는지 확인!! 잘 가야 한다.
## 메일 주고받기 테스트 (선더버드 실행) ##
## 일단 선더버드를 설치해야한다.
Win7을 '브릿지'로 변경, IP는 자동으로 설정.
구글 - [선더버드] 검색 - 무료 다운로드
##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브릿지->VMnet으로 원상복구 // IP도 다시 넣기
선더버드 실행 - 메뉴의 오른쪽 끝에 있는 곳 클릭해서 '계정 설정'
## 7.22 다시 시작 !! ##
CentOS] - 브릿지, DHCP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systemctl restart network
ifconfig
## 지난번에 설치했던 것들을 다 삭제
yum -y remove sendmail sendmail-cf dovecot
yum -y remove remove evolution
vi /etc/hostname
## mail.kedu.edu 로 수정하고 저장
vi /etc/hosts
## 맨 아래에다가 192.168.50.101 mail.kedu.edu 입력
systemctl restart httpd.service
## sendmail을 다시 재설치하자!! 설정도 아마 이전에 했던거랑 같을 것임.
yum -y install sendmail sendmail-cf dovecot
vi /etc/mail/sendmail.cf
:set nu
## 85번째 줄 : Cwlocalhost -> Cwkedu.edu
## 264번째 줄 : Addr=127.0.0.1 -> 삭제 (서버에 안 닿아도 자기 자신만 e-mail을 보낼 수 있다는 뜻이므로,
외부에서 e-mail을 보낼 수 있게끔 하려면 이게 사라져야 한다.)
vi /etc/mail/access
:set nu
## 마지막줄 아래에 13번째줄을 새롭게 추가 : kedu.edu RELAY
14번째줄을 새롭게 추가 : 192.168.50 RELAY
(다른 E-mail 서버를 경유해서 메일을 보낼 수 있게 하겠다라는 뜻임. 여기서 50은 50으로 시작하는 모든 IP를 뜻한다.)
vi /etc/dovecot/dovecot.conf
:set nu
## 24번째 줄 : Protocol 앞의 #(우물정) 제거
## 30번째 줄 : listen = *, : : 앞의 #(우물정) 제거. (*은 IPv4, : :는 IPv6으로 IPv4와 IPv6를 사용하겠다 라는 뜻)
## 33번째 줄 : 이메일을 임시 저장할 디렉토리로 base_dir 앞에 #(우물정) 제거
vi /etc/dovecot/conf.d/10-ssl.conf
:set nu
## 8번째 줄 : ssl = required가 있는데 'ssl을 쓰겠다.' 라는 뜻임. ssl = yes 로 변경
vi /etc/dovecot/conf.d/10-mail.conf
:set nu
## 25번째 줄 : mail_colation = mbox 앞의 #(우물정) 제거 ==> 메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임.
## 121번째 줄 : mail_access_groups 앞에 #(우물정) 제거, 그리고 맨 뒤 mail_access_groups = mail (그룹명 적어주기)
## 166번째 줄 : locl_method 앞에 #(우물정) 제거 ==> 메일 잠금방식이 fcntl 방식이다.
firewall-config
## 영구적, 런타임 모두 imap, http, https, pop3, pop3s, smtp 방화벽 체크.
yum -y install evolution*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Static으로 변경 + IP 원위치 + VMnet6번으로 변경
systemctl restart network
ifconfig
ping 192.168.50.200
vi /etc/resolv.conf
systemctl restart sendmail
systemctl restart dovecot
systemctl enable sendmail
systemctl enable dovecot
[프로그램] - [오피스] - [에볼루션] - [파일] - [새로 만들기] - [메일 계정] - 환영합니다. 뜸
[Terminal]
useradd kim
useradd lee
passwd kim
1111
1111
passwd lee
1111
1111
[에볼루션]
다시 에볼루션으로 돌아가서
전체이름 : 김케이에듀
전자메일 주소 : kim@kedu.edu
받는 메일 서버 : POP
서버 : mail.kedu.edu 포트번호 : 995
사용자 이름 : kim
암호화 방식 : (TLS 암호화방식) ## 아까 ssl = yes 한게 이것임.
보내는 메일 서버 : SMTP
서버 : mail.kedu.edu 포트번호 : 25
암호화 방식 : (암호화 없음)
요약정보들이 나온다.
계정 정보 : 이름 : 김케이에듀 - 다음 - 적용
Win2016]
dnsmgmt.msc
## 정방향 우클릭 새영역 - kedu.edu
## 역방향 우클릭 새영역 - 다음(192.168.50) - 이름 풀이가 되어야한다.
[정방향] - [새 호스트]
ns : 192.168.50.100
www : 192.168.50.101
: 192.168.50.101
mail : 192.168.50.101 ## CentOS가 mail Server임.
## 이제 mail server가 있으면 MX mail 교환기도 있어야함.
[정방향] - [우클릭] - [새 MX(메일 교환기)]
호스트 또는 자식 도메인 : 입력 X
메일 서버의 FQDN : 찾아보기 (mail.kedu.edu)
## 맨 위에 아무것도 입력안하고 FQDN을 이렇게 설정하면 ==> 이메일 주소가 ID@kedu.edu 이렇게 된다.
만약 맨 위에 뭐를 입력했으면 위의 양식대로 안나오므로 적지 말기.
속성 변경 : ns.kedu.edu. 검색해서 찾기.
권한 시작 : 주서버 - 찾아보기(ns 선택) , admin.kedu.edu. (마지막 쩜 까지)
일련번호는 2로 변경!! (이걸 2로 안하면 업데이트 변경 사항이 반영이 안 된다.)
이제 [모든 작업] - [캐시 지우기] - [다시 시작]
CentOS]
## 이름 풀이 되나 확인.
nslookup
> server 192.168.50.100
(잘 된다.)
> mail.kedu.edu
(잘 된다.)
## 새로만들기 - 메일메시지
## 메일이 계속 안와서 껐다 켜보니
## 메일이 와있다


끝!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 (Network File System _ 네트워크로 파일을 공유하는 서비스) (0) | 2021.07.09 |
---|---|
Telnet Server (0) | 2021.07.09 |
SAMBA (Win7->Linux // Linux->Win7) (0) | 2021.07.07 |
서버 구축 - Apache Web Server (0) | 2021.07.02 |
Linux #7 - Root password 복구(Grub)와 SELinux 보안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