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xm's IT Story
SAMBA (Win7->Linux // Linux->Win7) 본문
## Win Server 2016 VM ware 설치 ##
1. Shared - App - 0-2. WIN server 2016_x64_dvd_9327762 Download
2. VM Ware - New Virtual Machine
3. Windows Server 2016 Check
## 기본 설정 ##
① - 키보드 (103/106키) - 제품 번호 없음(6개월 무료 사용 가능) - 제일 아래의 Windows Server 2016 데스크톱 환경
- 사용자 지정 설치.
② 비밀번호는 cc18xxxxxx!
③ VM ware 위의 옵션들중에 VM - VM tool 클릭(전부 표준) - Win 2016으로 돌아와서 내 PC 옆에 있는 것 클릭
그리고 바탕화면 디스플레이와 개인설정? 거기서 설정하면 된다.
## IP 입력 ##
win + r키 : dnsmgmt.msc
시작 - 서버관리자 - 역할 및 기능 추가 - DNS 서버 선택
역할 기반 - 서버 풀에서 서버 선택 - 맨 마지막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대상 서버 다시 시작' - 설치
다시 win + r키 : dnsmgmt.msc
그러면 창이 하나 나옴. - 왼쪽의 WIN-MT7HVN300KI 에서 이제 아래의 내용들을 설정하는 것임.
<정방향> : 도메인을 IP로 바꾸는 역할
## 마우스 우클릭 - 새 영역 - 주 영역 - kedu.edu -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함
## 다음 이름으로 새 파일 만들기에 'kedu.edu.dns' 파일이 만들어진다고 뜸. 리눅스에서의 kedu.edu.db 파일과 똑같은 역할임.
<역방향> : IP를 도메인으로 바꾸는 역할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함.
<정방향> SOA 우클릭 - 속성 들어가보면, Update, Refresh, Expire, TTL 이렇게 4개가 뜬다. (네트워크 관리사 문제!!)
## 정방향에서 새호스트 추가
이름 : ns
192.168.50.100
연결된 PTR(포인터) 레코드 만들기(C) 체크 후 호스트 추가
이름 : 아무것도 입력하지 말고
192.168.50.101
## 아파치가 101이므로 101을 만들자. www.kedu.edu 입력해도 되는데, www를 안붙이고 naver.com 처럼
들어갈 수도 있으므로!!
이름 : www (그냥 www만!)
192.168.50.101
## 위에꺼처럼 101 !!
SOA 우클릭 - 권한속성 - 이름 서버
## ns.kedu.edu 치고 확인.
## 역방향도 똑같이 만들어졌나 확인!!
## 어제까지 했던 DNS 이후로부터! ##
## HSRP ##
DSW1]
conf t
int vlan 10
standby 10 ip 192.168.10.28
standby 10 priority 110
standby 10 preempt delay minimum 10
standby 10 track FastEthernet1/8 20
exit
int vlan 20
standby 20 ip 192.168.10.60
standby 20 priority 110
standby 20 preempt delay minimum 10
standby 20 track FastEthernet1/8 20
exit
int vlan 30
standby 30 ip 192.168.10.92
standby 30 preempt
exit
int vlan 40
standby 40 ip 192.168.10.124
standby 40 preempt
exit
int vlan 50
standby 50 ip 192.168.50.200
standby 50 priority 110
standby 50 preempt delay minimum 10
standby 50 track FastEthernet1/8 20
end
## 이제 Windows 서버가 DNS임.
DSW2]
conf t
int vlan 10
standby 10 ip 192.168.10.28
standby 10 preempt
exit
int vlan 20
standby 20 ip 192.168.10.60
standby 20 preempt
exit
int vlan 30
standby 30 ip 192.168.10.92
standby 30 priority 110
standby 30 preempt delay minimum 10
standby 30 track FastEthernet1/8 20
exit
int vlan 40
standby 40 ip 192.168.10.124
standby 40 priority 110
standby 40 preempt delay minimum 10
standby 40 track FastEthernet1/8 20
exit
int vlan 50
standby 50 ip 192.168.50.200
standby 50 preempt
## 아직 DHCP를 안하고 Static으로 하기 위해서 각각 IP를 아래와 같이 넣음
CentOS]
systemctl restart network
Win7]
## IP 아래와 같이 수정
## ① GNS3 상에서 VMnet1이 Host이므로, 192.168.10.1
## ② VMnet1의 마스크가 /27 이므로 255.255.255.224
## ③ 기본 게이트웨이는 GNS3 상에서 VLAN10 가상 게이트웨이인 192.168.10.28
## ④ DNS는 GNS3 상에서 왼쪽에 보이는 Server (Win 2016)의 IP를 넣어주면 된다.
WIN Server 2016]
## Win 2016에서 방화벽 전부 해제
## Win 7 에서 보조 dns 삭제
## Win 2016에서 cmd - ipconfig /flushdns 해서 캐시를 플러시하기
## 그리고 마지막으로 ping www.kedu.edu!! 된다!!!!!!!!!
야호~ 여기까지 DNS 끝!! ㅎㅎ 이제 DHCP로 넘어가자 ^^
## SAMBA ##
Win7]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다른 계정 관리
새 계정 만들기
내 PC - C 드라이브 - share 폴더 만들기 (리눅스에서 끌어다 쓸것임. 이게 삼바 서버이다!!)
share 우클릭 - 속성 - 공유
CentOS]
rpm -qa | grep samba ## SAMBA가 2개가 나온다.
yum -y install samba-client
## CentOS : SAMBA 클라이언트
## Win7 : SAMBA 서버
## 이제 Win7에 ping 날려보기(접근 되는지). 이거 안되면 말짱 꽝!
ping 192.168.10.1
smbclient -L 192.168.10.1
Win7]
## 사용자 계정 확인해보기 - 암호 변경 (1234)
CentOS]
smbclient -L 192.168.10.1
## 또 bxmsta 비밀번호 물어본다.. root 비밀번호 물어봐야 하는데 ㅠㅠ
## 그렇다면 static에서 dhcp로 바꾸고, # 전부 제거 + CentOS를 '브릿지'로 바꾸기.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systemctl restart network
## HOST 컴퓨터와 같은 IP 대역을 쓰겠다는 뜻임.
ifconfig
## IP 확인 : 10.10.63.87을 할당 받았음!
HOST PC]
내 PC - 로컬디스크(C) - share 디렉토리 생성 - 공유
## 그리고 새 계정 만들기. (root/1234)
CentOS]
smbclient -L 10.6.3.100/share -U root ## 10.6.3.100 Host 자리
비밀번호 : 1234
## 들어가진다!! 일단 나가서
mkdir -p /root/mnt ##mount
mount //10.6.3.100/share /root/mnt -o username=root
켁.. 호스트가 죽었다고 뜸.
samba의 사용법이 바뀌었음!! 내일 다시!!
## 다음 날이 되었습니다 ##
CentOS]
ping 192.168.10.1
smbclient -L 192.168.10.1 -U root
## 자꾸 에러가 뜬다... Win7에서 사용자 계정에서 root 계정 1234->1111로 바꾸고
CentOS에서 위 명령어를 다시 친 후 1111 입력하니까 되었음.
mount -t cifs //192.168.10.1/share /root/mnt -o username=root,password=1111,vers=2.0
## 마운트를 하자. 마운트가 됐다고 뜰 것임.
ls /root/mnt
cd /root/mnt
cat > test
## test를 하나 만들었음.
Win7]
로컬디스크 - share 가보면 'test' 파일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음.
그렇다면, Win7에서 저 share 폴더에 파일들을 드래그해서 갖다 놓으면 CentOS에 생길까?
CentOS]
ls -l
## 방금 위의 Win7에서 드래그해서 올린 파일들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이제는 리눅스에서 공유를 할 것임 ##
## DHCP + 브릿지로 돌리기.
yum -y install samba system-config-samba
rpm -qa | grep samba
## system-config-samba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 이게 없으면 안된다. '설정을 자동화 해주는 도구'임!!
==> samba server의 GUI 모드임!!
## 만약 없다면, rpm.pbone.net 가서 다운받기. 물론 나도 안뜬다 ㅎㅎ..
## CentOS 7용을 찾음!!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이 된다 -> 그 파일을 복사해서 tmp에 옮겨 놓기. (솔직히 아무데나 놔둬도 상관 없음 ㅋㅋ)
rpm -ivh system-config-samba-1.2.100-5.4.noarch.rpm
dependencies 오류가 났음.
rpm -ivh system-config-samba-1.2.100-5.4.noarch.rpm --nodeps
yum -y install samba*
rpm -qa | grep samba
## system-config-samba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부터 samba 시작임!!
## SAMBA 실행 ##
systemctl start smb
systemctl enable smb
firewall-config
## 런타임, 영구적 둘 다 [samba], [samba-client] 체크하기.
## 이제부터 Windows에서 Linux에 접근할 수 있다!! ##
system-config-samba
mkdir /share
## 공유 디렉토리 하나 만들기
system-config-samba
SAMBA 메뉴에 있는 [설정] - [서버 설정]
## Win7의 작업 그룹을 보기 (Win의 작업 그룹 이름을 넣어줘야 함) ##
Win7]
CentOS]
인증 모드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STATIC' , 우물정(#) 전부 해제 , 브릿지->VMnet5 변경
systemctl restart network
Win7]
[내 PC] - '\\192.168.50.101'(Server의 IP) 를 치면 '네트워크 암호 입력'이 뜬다.
CentOS]
## 다시 SAMBA를 키니 에러가 뜨며 안들어가진다
vi /etc/samba/smb.conf
:set nu
8번째 줄 = user로 바꾸기!
## 사용자 추가 ##
Unix 사용자명 : root
Windows 사용자명 : root
비밀번호 : 1111
## SAMBA 공유를 해보자 ##
그리고 [접근]을 눌러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 부여' 체크
그럼 이제 share가 보이게 된다!!
Win7]
내 PC - \\192.168.50.101 치니까 로그인 하라는 화면이 뜨고 root::1111 치면 아래와 같이
share 폴더가 보이게 된다!! SAMBA 끝난 것임!! 엄청 편함.
끝!!
결론은, Win7의 root 암호와, SAMBA의 root 암호가 같아야 한다.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lnet Server (0) | 2021.07.09 |
---|---|
Sendmail (메일 주고 받기) // Evolution + Thunderbird (0) | 2021.07.08 |
서버 구축 - Apache Web Server (0) | 2021.07.02 |
Linux #7 - Root password 복구(Grub)와 SELinux 보안 (0) | 2021.07.01 |
Linux #6 - 리눅스 압축 도구 (0) | 2021.06.25 |